The formative purity praising the creative power of the Creator
(Shin Hang-Seop/Art Critic)
Painting is the function and technique of hands. However, making a different form from a visible object, in other words, omitting, simplifying, deforming and distorting a form is the domain of creation. There is a fun in reproducing the reality as it is; however, there is bigger joy in a creative activity making a new form, which did not exist before. Pursuing a new thing gives more joy because it is pioneering an unprecedented road. Creating something new is such an exciting job.
Recently, Rhee Jeong-yoen is attracting attraction by her series of work on the thesis of ‘new genesis’ This ‘new genesis’ is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making the world for the first time, in other words, the dawn of world in the doctrine of creation. The ‘new genesis’ of Rhee Jeong-yoen means the material purity, when an object has been made for the first time, or, at the time of its creation. It means that she believes that closer to the original pure form of when the Creator had made this world is ideal. A pure form means a formative novelty; however, it is closer to the meaning of expressive purity which is pursued by Rhee Jeong-yoen.
Like the Creator kneaded soil by hand when making the forms of objects in the world, Rhee Jeong-yoen also believes that the work method using hand is ideal. Therefore, all her works are done at the fingertip of her. The ? ‘new genesis’ means this work method, which imitates the creative power of the Creator. Rhee Jeong-yoen does not use any painting tool such as a brush or a knife. She does the expression she wants only by hands without using any tool. It is something like a working method in handicraft and it may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getting an expressive purity.
Using hand is a choice to keep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the material itself. Working by hand also means the directness of expression. In other words, using finger tip is the last step of exercising physical force and it is the exit which directly transmits her aesthetic sense or consciousness without filtering. When the painting tools like a brush or knife are indirect expression method, expression by fingertip is direct expression method.
It is possible to know from it that a foundation for expressive purity is provided by securing the series of exit such as direct transmittal of aesthetic consciousness, aesthetic sense and physical force. For Rhee Jeong-yoen, work has the same concept with the purity of labor. The handicraft approach of making something accompanies a labor. Though it does not require intensive force, still the process of making a form by finger is similar to a labor.
The work of Rhee Jeong-yoen may have its objective at becoming closer to the work of a farmer working in a field. The process of plowing a field, sowing seeds and getting crops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creation by the Creator. She also pastes natural material on natural base like soil and varnishes with lacquer to create forms. Therefore, the forms do not look like having been forced and they look natural. She makes random forms like the furrows made by a farmer.
All materials used by Rhee Jeong-yoen are natural materials as she focuses on the purity of expression. In other words, the materials are not processed products changed of its properties but they keep original natural properties. They are the materials, which meet the thesis of ‘new genesis’. It means using natural material which was created when the world was created.
One of the natural materials she uses is lacquer, which is taken from lacquer tree. She also uses hemp cloth as the canvas. Hemp cloth is a kind of textile woven by a loom or a weaving machine, which has crude and rough texture. This bast-fiber fabric is used in Korea to make traditional clothes or used as a living tool. Like some modern fine artists use a gunnysack as a canvas, Rhee Jeong-yoen uses the crude fabric of hemp cloth as a canvas.
Bast-fiber fabric is not proper for neat and smooth expression because it has sparse gaps in fabric which are loose enough to show the forms of warps and wefts. On the other hand, it is very effective when the unique texture and image of bast-fiber fabric are used in expressive image like in the work of Rhee Jeong-yoen.
Rhee Jeong-yoen uses hemp cloth as a canvas because the crude ply of the textile does the role of expressive image. She just applies lacquer on the hemp cloth pasted on the base plate without adding any other coloring material. When the work is completed, the hemp cloth works as an excellent expressive image like other materials. Of course, the textile is not in its pure state because she uses ‘geon-chil’ method during lacquer varnishing, which is piling up hemp cloth repeatedly.
Rhee Jeong-yoen uses materials such as lacquer, nacre, soil, charcoal powder, gold and skin of egg or duck egg. She arrived at these natural materials after contemplating on the issue of work preservation. For her, it was the matter of trust to preserve her works for a long time without using industrial coloring. Lacquer is semi-permanent material, which does not change after thousands of year like we can see in the lacquer ware relics excavated from underground. Furthermore, lacquer gives more profound feeling as time goes by and its color property becomes darker and mellower.
The work of Rhee Jeong-yoen using lacquer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work using industrial colors by showing completely different visual image from traditional colored painting or oil painting. This is the result of new formative production enabled by the characteristic of material. As she uses lacquer, nacre, soil, charcoal powder and gold, her work gives crude and pure impression and it has the smell and power of soil.
Each of these natural materials has unique color. Though the colors do not have the luxury of prime colors, the colors of natural materials are good enough to replace industrial colors. Especially, they have good preservation property because they do not change much by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humidity and temperature. Furthermore, they meet the requirement of expressive purity, which is the formative idea of Rhee Jeong-yoen. In other words, they are the materials, which can keep the original purity to meet the thesis of ‘new genesis’.
The work of Rhee Jeong-yoen does not put weight on the description of a detail form. There are forms such as a funnel, a coffee pot, a piece of bamboo, a ‘daegeum’ (Korean traditional woodwind instrument), a chair or forms look like a tree or mountain. There are images in round form which remind us of a lotus flower, lotus leaf, fish, sun, moon and star. But none of those forms is complete. They are expressed in distorted, incomplete and inarticulate state. They do not have the refined image coming from descriptive completion.
Furthermore, they do not have any regularity in their constitution and arrangement. Their location is more in random than free. It is quite different from intentional and calculated formative constitution. There is no formative formula in the form, size and arrangement of the images. In short, her work is as fresh as an untamed wild thing. Perhaps it is the result of expression method relying on intuition. I think Rhee Jeong-yoen increased her power of intuition on objects by doing zen, meditation and yoga for years.
It is possible that the form we see in the work of Rhee Jeong-yoen is the representation of her mental image. But still that mental image is not stored in her as a standardized form. Her expression method of maximizing the physical property and expressive power of material is induced by the emotion or the flow of consciousness during her work. The form she pursues is different from natural beauty. It is not an aesthetic sense tamed by education but is the product of pure consciousness and sensitivity under the disguise of nature.
Rhee Jeong-yoen firmly believes that all objects in the world are created exactly as the Creator wanted. It may be a religious belief of her but truly the exquisite forms of natural objects are indescribably mysterious. All objects forming the system of nature are perfect creations made by necessity, which means that they are the products of the all mighty Creator.
The views on nature and religion held by Rhee Jeong-yoen clearly suggested the direction of her work. First, she answered to the creativity of the Creator by using natural materials. Then she applies her intuition obtained by zazen, meditation and yoga on her work. Next she induces a formative thinking which follows the flow of emotion and consciousness. I think the purity and power felt in the forms of her work comes from here.
Her work can be said the materialization of spirit. The property of natural material is divinity. All creations of the Creator are perfect in the aspect of material value because they have unique value and property. It is proven by the fact that nothing in the world is faulty. Therefore, each material used by Rhee Jeong-yoen exposes self in complete form. In other words, they work in having the formative image become more clearly highlighted while exposing their property as a natural material.
For instance, the mysterious color and light eradicated from nacre makes her formative world into a world of mystery. I think they are trying to remind us of the fact that they are the best materials in the materialization of spirit. The light of spirit means the representation of clever aesthetic sense, which covers the view on life, view on nature, view on world, formative idea and philosophy agglomerated in her. Likewise, the forms in the work of Rhee Jeong-yoen are a kind of talk from inside and the materialization of spirit which exposes the inside of her.
Rhee Jeong-yoen listens to the voice from her inside while working. She opens her ears to the voice of her true ego. She expects the flow of pure expressive forms flow out like in a pond by doing such. The forms similar to a piece of empty bamboo, a wooden wind instrument and a funnel in her work are the media which transmit her inside talk. They are the tools that tell her inside talk, which she wants the world to hear. The form that looks like a piece of empty bamboo is also a tool, by which she expresses her interest in the outer world and she listens to the sound of it. Therefore, the form given by Rhee Jeong-yoen is a language which symbolizes the two 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ld and me.
#Korean
조물주의 창조력을 찬미하는 조형적인 순수성
△글=신항섭/미술평론가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손의 기능이자 기술이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물상과 다른 형태를 만드는 행위, 즉 형태를 생략하고 단순화하거나 또는 변형 및 왜곡하는 것은 창작의 영역이다. 실제를 그대로 재현하는 일에도 즐거움이 있지만,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상을 강구하는 창작활동에는 더 큰 희열이 있다.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것은 전인미답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일이기에 그렇다. 새로운 무엇을 만들어내는 창작행위는 그렇게 흥분되는 일이다.
이정연은 최근 ‘신창세기’라는 명제를 가진 일련의 연작으로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작품 명제 ‘신창세기’는 창조론에서 말하는 세상을 처음으로 만드는 것, 즉 개벽이라는 의미와는 다른 것이다. 그의 작품명제가 말하는 ‘신창세기’는 물상이 처음으로 만들어질 때의 물질적인 순수성 또는 창조되는 순간의 순수성을 의미한다. 조물주가 세상을 만들어낼 때의 그 원초적이고 순수한 형상에 가까워지는 것을 이상으로 여긴다는 뜻이다. 순수한 형상이란 조형적인 새로움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그 자신의 작업이 지향하는 표현의 순수성이란 의미에 더 가깝다.
조물주가 만물의 형상을 만들 때 손을 이용하여 흙으로 빚었듯이 그 또한 손가락을 사용하는 작업방식을 이상적으로 여긴다. 그래서인지, 그의 모든 작업은 손끝에서 이루어진다. ‘신창세기’란 이처럼 조물주의 창조력을 흉내내는 작업방식을 가리킨다. 그의 작업에서는 붓이나 나이프 등 일련의 화구가 사용되지 않는다. 일반화된 화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만으로도 자신이 원하는 표현을 너끈히 해낸다. 어찌 보면 수공예적인 작업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표현적인 순수성을 얻는데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손을 이용하는 것은 재료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특성을 살리기 위한 선택이다. 뿐더러 손끝으로 작업한다는 것은 표현의 직접성을 뜻한다. 다시 말해 손끝은 신체적인 힘을 구사하는 최종단계이면서 한편으로는 미적 감각이나 미의식을 여과 없이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출구이다. 붓이나 나이프와 같은 화구가 간접적인 표현방식이라면 손끝에 의한 표현은 직접적인 표현방식이다.
이로써 알 수 있듯이 미의식과 미적 감각, 그리고 신체적인 힘의 직접적인 전달이라는 일련의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표현적인 순수성을 위한 그 기반이 마련된다. 그에게 작업은 노동의 순수성과 동일한 개념이다. 무엇을 만든다는 공예적인 접근방식은 노동을 수반한다. 비록 과격한 힘이 요구되는 것은 아닐지언정 손가락을 꼼지락거리며 형상을 만들어가는 일련의 과정은 노동에 근사하다.
그의 작업은 땅을 일구는 농부의 그것에 가까워지는 것을 목표로 하는지 모른다. 흙을 일구고 씨를 뿌려 생명의 싹을 틔우고 꽃을 피워 열매를 얻는 그 과정이야말로 조물주의 창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 또한 흙과 같은 순수한 천연의 소지 위에 천연의 물질을 붙이고 옻칠을 해서 형상을 만들어낸다. 그러기에 그 형상은 억지스럽지 않고 자연스럽다. 농부가 일군 밭고랑처럼 그런 무작위적인 형상이 만들어지는 까닭이다.
이렇듯이 표현의 순수성을 중시하는 그의 작업에 쓰이는 모든 재료는 자연물질이다. 다시 말해 형질을 변경하는 가공품이 아니라 자연성을 상실하지 않은 천연 그대로의 물성을 가지고 있는 것들이다. 이는 ‘신창세기’라는 명제에 부합하는 재질이다. 다시 말해 자연물질을 이용한다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세상이 만들어질 때 생겨난 천연적인 질료라는 개념을 수반한다.
실제로 작업에 쓰이는 여러 가지 재료는 자연에서 채취하는 천연 물질인데, 그 가운데 채색재료는 옻칠이다. 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을 물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화판으로 쓰이는 소지는 삼베이다. 삼베는 전통적으로 베틀, 즉 직기를 이용하여 짜낸 피륙의 일종인데 질감이 거칠고 투박하다. 삼베는 마직으로서 한국에서는 전통적인 옷감이나 생활용구로 쓰이기도 한다. 현대회화에서 마대를 캔버스로 대체하는 작가들이 있듯이 삼베라는 거친 직물이 캔버스를 대신한다.
마직은 날줄과 씨줄의 형태가 온전히 드러날 정도로 그 간격이 성글어 곱고 매끄러운 표현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에 그의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마직 특유의 질감 및 이미지를 표현적인 이미지로 받아들일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그가 삼베로 캔버스를 대용하는 것은 피륙이 가지고 있는 거친 올이 표현적인 이미지로서의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이다. 화판 위에 바른 삼베를 그대로 둔 채, 그 위에 옻칠을 할 뿐 다른 채색재료를 덧입히지 않은 상태로 놔둔다.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삼베는 다른 재료들과 마찬가지로 표현적인 이미지로 훌륭히 기능하는 것이다. 물론 옻칠의 건칠기법을 이용하므로 아무것도 칠해지지 않은 순수한 피륙의 상태는 아니다.
그가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재료는 옻칠을 포함하여 나전(자개), 흙, 숯가루, 금, 계란과 오리알 껍질 등이다. 이러한 재료들은 작품의 보존이라는 문제를 고민하다가 선택한 천연물질이다. 다시 말해 공업적인 채색 물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신뢰성 문제 때문이다. 이에 비해 옻칠은 지하에서 발굴한 칠기유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수천 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반영구적인 재료이다. 더구나 옻칠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색깔이 짙어지면서 심오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일반적인 공업생산품과는 다른 깊고 그윽한 색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성을 가진 옻칠을 기본적인 재료로 사용하는 그의 작업은 공업생산품인 일반적인 물감을 사용하는 작업과는 확연히 다르다. 전통적인 채색화나 유채화와는 완연히 다른 시각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재료적인 특성에 따른 새로운 조형적인 연출의 결과이다. 전통적인 나전칠기에서 사용하는 자개와 흙, 숯가루 그리고 금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그의 작업은 투박하고 순수하다는 인상이다. 흙냄새와 힘이 느껴지는 것이다.
이들 재료는 저마다 고유의 색깔이 있다. 비록 원색적인 화려함은 없을지언정 물감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표현재료이다. 무엇보다도 기후 및 습기 등 외부적인 환경조건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보존성이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표현적인 순수성이라는 그 자신의 조형적인 이념에 적합하다. 즉, ‘신창세기’라는 명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원초적인 순수성을 살릴 수 있는 재료이기도 하다.
그의 작업은 구체적인 형태묘사를 중시하지 않는다. 물론 깔때기라든가 커피포트, 대나무 토막, 대금, 의자 그리고 나무나 산과 유사한 형상이 존재한다. 또한 연꽃이나 연잎, 물고기, 해와 달 그리고 별을 연상시키는 둥근 원형의 이미지들도 있다. 하지만 이들 형상은 온전한 것이 없다. 어딘가 일그러지거나 모자라고 어눌해 보이는 상태로 표현되어 있다. 묘사적인 완성도에서 비롯되는 세련미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더구나 이들 이미지의 구성 및 배치에서 어떤 규칙성이 보이지 않는다. 자유롭다기보다는 무심하다고 할 만큼 아무렇게나 자리하고 있는 듯싶다. 의도적이고 계산된 구성방식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이미지의 모양이나 크기 그리고 배열방식에서 도무지 조형적인 공식을 찾아낼 수 없다. 한마디로 길들여지지 않은 야생의 그것처럼 신선하다. 이는 직관에 의탁하는 표현방식의 결과인지 모른다. 참선과 요가 그리고 명상 등의 수행을 다년간 체험함으로써 사물에 대한 직관력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던 것은 아닐까.
우리가 그의 작업에서 볼 수 있는 형상은 심상의 현현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 심상이 정형화된 이미지로 그 자신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재료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특성 및 표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표현방법은 작업하는 순간에 일어나는 의식의 흐름이나 감정에 의해 유도된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추구하는 형상은 자연미와는 다르다. 교육에 의해 길들여진 미적 감각이 아니라, 자연을 빙자한 순수한 의식 및 감수성의 소산일 따름이다.
그가 확고히 믿는 바, 세상의 온갖 물상은 오로지 조물주에 의해 원하는 바대로 얻어진 것이라는 시각이다. 이는 그 자신의 종교적인 신념일 수도 있지만, 자연물상의 오묘한 형태를 보면 도무지 필설로 형언할 수 없는 신비의 세계일 따름이다. 자연계를 형성하는 형상은 모두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진 완벽한 창조물일 뿐이다. 즉 오로지 전지전능한 조물주의 산물일 따름이라는 시각이다.
이러한 자연관 및 종교관은 그 자신의 작업이 갈 방향을 명확히 제시해주었다. 일단 재료에서 자연물을 이용함으로써 조물주의 창조성에 응답하는 일이다. 그리고 그 자신은 참선 및 명상 그리고 요가를 통해 얻어진 직관력을 작업에 응용한다. 그리하여 감정 및 의식의 흐름이 순연한 조형적인 사고를 유도한다. 어쩌면 그의 작품에 나타난 형상에서 느껴지는 순수성과 힘은 여기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닐까.
그의 작업은 일테면 정신의 물질화라고 할 수 있다. 천연재료가 가지고 있는 물질의 속성은신성이다. 조물주의 창조물은 물질적인 가치라는 측면에서도 완벽하다. 저마다 고유의 가치와 속성을 가지고 있기에 그렇다. 세상의 물상 그 어느 것에도 불량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따라서 그가 사용하는 재료 하나하나는 스스로를 온전히 드러낸다. 다시 말해 천연물질로서의 속성을 그대로 드러내면서 그 자신이 원하는 조형적인 이미지를 더욱 선명히 부각시키는데 순응한다.
가령 나전, 즉 자개에서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그 신묘한 색깔과 빛은 그의 조형세계를 신비의 세계로 만들어놓는다. 정신의 물질화에 따른 최적의 재료임을 상기시키려는 것은 아닐까. 정신의 빛이란 내면에 응집된 인생관이나 자연관, 세계관, 그리고 조형적인 이념 및 철학까지 아우르는 총명한 미의식의 현현을 의미한다. 이렇듯이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형상은 모두 그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는, 일종의 속말이자 정신의 물질화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작업을 하면서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인다. 진정한 자아가 스스로에게 들려주는 소리에 귀를 연다. 그리하여 순수한 표현적인 형상이 샘물처럼 흘러나오기를 기대한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속이 빈 대나무 토막이나 목관악기 또는 깔때기와 유사한 형상들은 내면의 소리를 전달하는 매개물이다. 그가 세상에 들려주고픈 내면의 말을 전하는 도구인 셈이다. 이는 또한 세상에 대한 그 자신의 관심을 표명, 즉 빈 대나무 토막과 같은 형상은 외부의 소리를 듣는 도구이기도 하다. 그러고 보면 그가 제시하는 형상들은 세상과 나의 쌍방향 소통을 상징하는 언어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