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eration of Energy Formed through Metaphor and Insight
Jin Hwi-Yeon / Art historia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chool of Visual Art, Art-theory
1. Extension of Material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artist Rhee Jeong-Yeon is the composition of materials. The artist paints by covering hemp cloth that has been tightly pulled on canvas. Bark of poison ivy stripped off and extracted sap is collected to use them as the undercoating material of canvas. The dark red energy that oozes out subtilely when applied to cloth is displayed in harmony as if being one with hemp cloth even from the start. Lacquer varnishing technique was initially used for furniture or vessel and wood piece. Glutinous rice flower is mixed with fine red clay sifted out with filter and collected sap to apply it for background with hands instead of brush, on which various colors are placed. Dark color charcoal powder is applied, and white or gray color is expressed using stalactite or bone waste, volcanic ash and clam powder while steel or copper powder is used to express red color. Lacquer varnish powder is sprinkled on canvas, or gold, egg shell or nacre collected from abalone is applied.
All these materials that she use were not common materials in art. Actively embracing sap on canvas background is Rhee Jeong-Yeon’s advanced choice. The artist that uses materials collected from nature stated that she was inspired by the deep Korean sentiment displayed by materials with years of experience and refined tone. The pain of tree stripped off of its bark and charcoal and volcanic ashes transformed in heat and air for a long time are similar to the appearance of us that live our lives through endurance.
These very unique materials are materials that have been created on various layers of earth or that have grown for a long time with their roots in soil. Applying in layers on canvas bone wastes, volcanic ash, stalactite, clam powder, charcoal, sap of lacquer tree extracted from lives that have been created and formed on earth with the mix of water, fire, wind, air and time appears as having shifted sedimentation of solid matter and accumulation of time them on earth as if having shifted the earth. As if cultivating soil and enriching them into good substances, the artist waters on top of hemp cloth and pours fertilizer. On top of such soil, shapes grow as if lives and stacked neatly.
– Growth of Life
Her painting can be seen as a new environmental art in the context of containing affection towards every life of the world created and born, as well as focusing on organic relation between matters. It is so in the sense of understanding the ecology of nature, and actively reflecting the interest in the existence and change of object conceived in nature. What is also unique is not using artificial material or method. The canvas becomes a miniature of nature and an organism that has embraced life on which the artist paints living organisms that are like her alter ego. Bamboo is most representative among them. Bamboo is connected to the appearance of someone that has emptied himself to low position. Through the center that is empty, temperature inside the tree is rather high with high transmission of sound and ends up having straight and high height. What is also special is the speed of growth of soaring up over ground after enduring underground for a long time. It is when the center is empty, others?voices are well heard and communication becomes effective, thereby becoming more considerate to others. Such logic of the world is contained within the bamboo in the canvas of the artist that paints joints that have been stumped by slightly modifying them. In addition, figures such as circle, triangle and quadrangle and the major icons of Christianity, fish and cross, also appear that contain special stories for the artist.
All of the specific objects have been treated in metaphorical and connotative shapes instead of in the aspect of reproduction. Element that have been added with symbol have been prepared in texts that can be read by each audience. The artist that is experimental and defiant in the material and method that compose her work made efforts to capture invisible force and influence by granting meaning to every motif. Those that have been hidden or that operates secretly have been expressed through her typical flexible and large stroke.
2. Formative Pedigree and Characteristics of Painting
After majoring in Oriental Painting in university, Rhee Jeong-Yeon ended up painting Western painting and engraving through her overseas study in the US. In her early works, sense of volume and light & shade of ink are uninhibited with force in the stroke. It was weighty and strong to the point of even the canvas margin containing such energy. In her subsequent works that used Western media are filled with various lines and colors and visual elements are intensive and crowded as if conflict against one another.
Such form is analyzed also as surrealism but it is rather closer to abstract expression that is the representative modernism painting of the US. Atypical images that reminds of surrealism are shown at times and the movement of fluid lines appear as if implying multi-layered massaged. However, rhythmical energy is conveyed through intense colors and composition that fill entire canvas that is energetic on which brush mark is not hesitant, as if the action painting of abstract expressionism. During her overseas study years in New York, she expanded her media to lithography, mono print and acrylic paint, as well as oil painting, and she displayed the coexistence of the East and the West through various mixed materials such as ink stick, jangji, made and hanji. The form of Rhee Jeong-Yeon? works show experiments as diverse as her media.
– Unfixed Artist’s Experiment and Results
The artist is familiar with the long traditional brushstroke of the East. The feast of handwriting style brushstroke and comprehensive and multi-layers lines like straight lines is familiar to hands along with uninhibited alternation. Explosive display of the accumulation of such study in her canvas was found in the work created during her overseas study years. Upon returning from the US, the artist started to gradually show changes in the contents of painting as in her series of work since the mid 90s such as , , etc. Abstract form of conflicting shapes in the paintings found their shapes as they decreased or became simplified. Although the earth color is used as the background of canvas, lines are big and fluid and both color and form display somewhat variable, consolidated and vague shapes. In her subsequent series of work , unnecessary lines and colors became minimal while prominently showing concentration on the theme.
Around 2000, the artist once again introduces an interest subject matter, which is nacre. As she used both round nacre and flat nacre discovers the fact that nacre can bring another vitality to canvas. Nacre’s bright and multi-tone colors and hard texture appeared as the visualization of life surviving on the canvas of earth. As if crossing over between rough brush mark and tactual texture, organized shape and atypical lines and the medium and technique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artist’s mixed composition of canvas invalidates the meaning of boundary.
Her works based on the strong force from Indian ink, calligraphy tradition of dashing off with one brushstroke, light & shade difference of Indian ink painting and purity of Western abstract painting are expressive yet restrained and simple yet intense. Rhee Jeong-Yeon’s work starts from one stroke of strong energy. That energy dominates space and revives lines and colors, but they collided or contradicted. However, her sight and capability of various media and techniques gradually changed her work from disorder to order and from mixture to integration and from struggle to harmony. In her work that crosses over boundary, we discover a process of change. Trans-form, trans-contents, trans-dimension and trans-quality are the pedigree of Rhee Jeong-Yeon’s painting. As contents and elements that were intermixed become organized slowly or find their places, the artist? worlds of experience become integrated as the canvas become condensed and clear.
3. Life’s Journeys and Thematic Consciousness
Rhee Jeong-Yeon proposes travel to her audience through her work. She guides them to something that goes beyond what is seen to share it with her. The artist is a faithful and passionate professor. During her long teaching profession, she has been mainly teaching drawing. Although the purpose of drawing is to precisely catch what is seen, its goal is also to train how that should be recomposed and displayed. The artist helps her students to not only catch shape and recognize color through eyes but also master the path of developing the technique of reproducing them on their own. Through such lesson, sh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ubject. The most important thing ultimately is the understanding on awareness as the subject of sense.
– Spirituality & Religionism
Rhee Jeong-Yeon’s works are very tightly related to her life. Her religious practice is the center that leads her life. Who has a life that is light in its weight? Through her journey of life that is not easy, the artist reveals times that have been accumulated humbly and consistently toward one aim, absolute God, the Lord. Boiling hot respiration becomes one stroke and solidly raised up prayer changes into hemp cloth that is tightly and fully attached to canvas. Nacre that has been added at times appear as the artist’s laughter and gratitude and virtue cast away to those around. Her attitude towards life is reverent yet warm and shows the sufficiency of embracing her surrounding. Although her canvas that has been decorated through great brushstroke and arduous labor while being faithful to her life is somewhat rough and seen as decorative at times from the subject matter, it is like her letter that is sent to the future by fully containing her past and present.
Each moment of Rhee Jeong-Yeon has been melted into her work like many lives in the world that are growing as countless operations work that are not precisely revealed or felt each moment. Her works speak to us. The artist’s wish for her life and passion, prayer clothed with artistic expression, love, life and energy to be conveyed to other as they face her work so that they may be of some meaning to other is fully contained.
The force to strip off hidden things, endless prayer and self-reflection to reach eternity, courtship toward invisible things, poem of gratitude on life are Rhee Jeong-Yeon? work. Through her lonely struggle of displaying concentration while restraining desire towards that place without rest even today, her love and in-depth insight are poured out from her work.
#Korean
은유와 통찰로 빚어낸 에너지의 변조
진 휘 연 / 미술사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이론과
1. 재료의 확대
작가 이정연 회화의 가장 큰 특징은 재료의 구성에 있다. 작가는 삼베를 팽팽하게 잡아당겨 화판위에 입히고 그림을 그린다. 옻나무 껍질을 벗기고 추출한 수액을 모아 화면의 밑칠 재료로 삼는다. 천에 바를 때마다 은은하게 배어나는 검붉은 기운은 삼베와 처음부터 하나인 것 처럼 어우러져 발색한다. 옻칠 기법은 원래 가구나 그릇, 나무 조각에 사용되었다. 채취된 옻과 채로 걸러낸 고운 황토에 찹쌀가루를 섞어서 붓 대신 손으로 바탕을 칠하고, 그 위에 다양한 색들을 올린다. 검고 진한 색을 내는 숯가루를 더하기도 하고, 종유석가루나 뼛가루, 화산재와 조개가루를 이용해서 흰색이나 회색을, 철이나 구리가루 등으로 붉을 색을 내기도 한다. 화면에 옻칠가루를 뿌리거나, 금이나 계란껍데기, 전복에서 채취한 자개(自槪)를 붙이기도 한다.
그녀가 사용하는 이 모든 재료들은 미술의 보편적 소재가 아니었다. 옻을 화면 바탕에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은 이정연의 앞선 선택이었다. 자연에서 채집한 원료들을 사용하는 작가는 정제된 톤과 시간의 연륜이 묻어나는 재료가 주는 깊은 한국적인 느낌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했다. 껍질을 벗겨낸 나무의 고통과 오랜 시간 열과 공기에서 변환된 숯, 화산재 등은 모두 삶을 견디고 살아내는 우리의 모습과 닮았다.
매우 독특한 이런 재료들은 주로 대지의 여러 층위에서 생산된 것이거나 토양에 뿌리를 두고 오랜 시간 성장한 것들이다. 대지에 물, 불, 바람, 공기와 시간이 녹아들어가면서 생성되고 만들어진 생명으로부터 추출한 옻나무의 진액, 숯, 조개가루, 종유석가루, 화산재, 뼛가루 등을 겹겹이 화면 위에 설치함은 마치 대지를 옮겨놓은 듯, 견고한 물질의 퇴적과 시간의 축적을 화면에 옮긴 것처럼 보인다. 토양을 가꾸고 좋은 물질로 비옥하게 하듯, 작가는 삼베위에 물을 주고 거름을 붓는다. 그런 토지위에서 생명처럼 형상들이 자라고 차곡히 쌓여간다.
– 생명의 성장
생성되어 탄생하는 세상의 모든 생명에 대한 애정을 담아내고, 물질간의 유기적 관계에 집중한다고 할 때, 그의 회화는 새로운 환경미술로 볼 수 있다. 자연의 생태를 이해하고, 자연 안에서 잉태된 사물의 존재와 변화에 관심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또 인공적인 재료나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점도 특별하다. 화면은 자연의 축소판이 되고 생명을 품은 유기체가 된다. 여기에 작가는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생명체를 그린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대나무이다. 대나무는 자신을 비운 낮은 자의 모습과 연결되어있다. 비어 있는 중심으로 인해 오히려 나무 속 온도가 높고, 소리의 전도에 뛰어나며, 곧고도 높은 키를 갖게 된다. 땅속에서 오랜 시간을 견뎌야 땅 위로 솟아오르는 성장속도도 특별하다. 중심이 비어야 남의 소리를 잘 듣고, 소통에 용의하여 주변을 더 많이 배려하게 된다. 잘린 마디를 조금씩 변형해서 그리는 작가의 화면 안에서 대나무는 이런 세상의 이치를 내포한다. 그밖에도 원, 삼각형, 사각형 등의 도형과 기독교의 대표적 아이콘인 물고기와 십자가도 등장하는데, 이들은 모두 작가에게 특별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구체적인 대상들은 모두 재현적 측면보다는 은유적이고 함축된 형상으로 처리되었다. 상징을 덧입은 요소들은 관객 각자에 맞춰 읽힐 수 있는 텍스트로 준비되어있다. 작품을 구성하는 재료와 기법에 있어서 실험적이고도 도전적인 작가는 모든 모티브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보이지 않는 힘과 영향을 포착하려 애썼다. 감추어져있거나 은밀하게 작동하는 그것들은 작가 특유의 유연하고 큰 필선으로 표현되었다.
2. 회화의 형식적 계보와 특징
이정연은 대학에서 동양화를 전공했고, 이후 미국유학을 통해 서양화와 판화를 구사하게 되었다. 작가의 초기 작품들을 살펴보면, 묵의 양감과 농담이 자유롭고, 필선에는 힘이 있다. 화면의 여백마저도 그런 에너지를 내포하고 있을 만큼 묵직하고 강했다. 이후 서양화매체를 쓴 작품에선 선과 색들이 다양하게 화면을 가득 채우는데, 시각 요소들은 마치 서로 충돌하듯 집약적이고 붐빈다.
이런 형식을 초현실주의로 분석하기도 하는데, 그보다는 미국의 대표적 모더니즘 회화인 추상표현주의에 더 가깝다. 초현실주의를 연상시키는 비정형적 이미지가 보이기도 하고 유동적 선들의 움직임이 다층적 메시지를 암시하는 듯 보이기도 하지만, 추상표현주의인 액션페인팅처럼, 큰 화면에 붓자국이 머뭇대지 않고, 활력이 넘치고, 전체를 채우는 구성과 강렬한 색상이 율동적 에너지를 전달한다. 뉴욕에서의 유학시절에 유화기법은 물론, 석판화, 모노프린트, 아크릴화, 등으로 매체를 확대했고, 먹, 장지, 마대, 한지 등의 여러 혼합재료를 통해서 동서 표현의 공존을 구사했다. 이정연 작품의 형식은 매체만큼 다양한 실험성을 보여준다.
– 고정되지 않은 작가의 실험성과 결과물
작가는 동양의 오랜 전통 필법에 익숙하다. 서체적 붓놀림, 곡선을 품은 직선처럼, 포괄적이고 다층적인 선들의 향연이 농담의 자유로운 변조와 함께 손에 익숙하다. 이런 공부의 축적이 작가의 화면 안에서 폭발적으로 나타난 것이 유학시기 작품에서였다.
미국에서 돌아온 작가는 90년대 중반이후 <바람(hope)>, <만남> 등의 연작을 주제로 삼고, 그림의 내용에 조금씩 변화를 보이기 시작한다. 형식은 추상이지만, 충돌적이었던 그림 속 형상들이 감소하거나 단순해지면서 그 모양새를 찾아갔다. 땅의 색이 화면 바탕으로 자리 잡지만, 선은 크고 유동적이고 색과 형태 모두 다소 가변적인, 혼합적이고 모호한 모양새를 띤다. 이후 연작을 통해서 불필요한 선과 색은 최소한의 내용으로 수렴되어 갔고, 주제를 향한 집중력이 두드러진다.
2000년 즈음 작가는 다시 한 번 흥미로운 소재를 선택하는데, 바로 자개이다. 동그란 알자개와 평평한 판자개를 모두 사용하던 작가는 자개가 화면에 또 다른 활기를 불어넣어 줄 수 있음을 발견한다. 자개의 밝고 멀티톤의 색채와 딱딱한 질감은 대지의 화면에 마치 생명이 살아남을 가시화하는 듯 보였다. 거친 붓자국과 촉각적 질감, 정비된 형태와 비정형의 선들, 동양과 서양의 매체와 기법을 넘나들 듯, 작가의 혼성적 화면구성은 경계의 의미를 무효화한다.
수묵에서 오는 강한 힘, 일필휘지의 서예적 전통, 수묵화의 농담의 차이, 서구 추상화의 순수성에 기초한 작가의 작품은 표현적이지만 절제되어있고, 단순하지만 강렬하다.
이정연의 작품은 강력한 에너지의 한 획에서 시작한다. 그 에너지는 공간을 장악하고 선과 색들을 살아나게 만들지만, 서로가 충돌하거나 상충되기도 했다. 그러나 다양한 매체와 기법의 숙련된 시간만큼 작가의 시선과 역량은 점차 작품을 무질서에서 질서로, 혼성에서 통합으로, 투쟁에서 조화로 변화시켰다.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 안에서 우리는 변화의 과정을 발견하게된다. 트랜스폼(trans-form), 트랜스콘텐츠(trans-contents), 트랜스디멘션 (trans-dimension), 트랜스 퀄러티(trans-quality). 이것이 이정연 회화의 계보이다. 혼재되었던 내용과 요소들이 조금씩 정돈되거나 자기 자리를 찾아가면서, 화면은 좀 더 응축되어가고 명료해지면서 작가의 경험세계들이 통합되어간다.
3. 삶의 여정들과 주제의식
이정연은 작품을 통해 관객에게 여행을 제안한다. 관객에게 보이는 것 너머를 그녀와 공유하도록 인도한다. 작가는 성실하고 열정적인 교수이다. 오랜 교직에서 주로 소묘(drawing)를 가르쳐왔다. 소묘는 보이는 것을 정확하게 잡아내는데 목적이 있지만, 동시에 그것을 어떻게 재구성하여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훈련을 목표로 한다. 작가는 학생들에게 눈을 통해 형태를 잡아내고 색을 인지하게 할 뿐 아니라, 그것을 재현하는 기술을 개발하도록, 스스로 그 길을 터득하도록 돕는다. 작가는 이런 수업을 통해 대상과 주체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감각의 주체로서의 인식에 대한 이해이다.
– 정신성과 종교성
이정연의 작품은 작가의 삶과 매우 긴밀하게 밀착되어있다. 작가의 종교적 실천이 삶을 이끄는 중심이다. 삶의 무게가 가벼운 자가 어디 있겠는가? 작가는 녹녹치 않은 삶의 여정에서 하나의 지향점, 절대 신, 하나님을 향한 겸손하고도 일관되게 쌓인 시간들을 드러낸다. 끓어오르는 뜨거운 호흡이 하나의 획이 되고, 단단하게 쌓아 올라간 기도가 화면에 꽉 밀착된 삼베 천으로 변한다. 거기에 간간이 더해진 자개는 작가의 웃음과 주변에 흘려보낸 감사와 덕으로 보인다. 삶에 대한 작가의 태도는 기도처럼 경건하지만, 따뜻하고, 주변을 감싸 안는 넉넉함을 보여준다. 자신의 삶에 충실하고, 멋진 필력과 힘든 노동으로 가꾸어낸 화폭은 다소 거칠거나 때로는 소재로 인해 장식적으로 보일 때도 있지만, 작가의 과거와 현재를 고스란히 담아서 미래로 보내는 그녀의 편지와도 같다.
정확하게 매 순간 드러나거나 느껴지지는 않지만, 무수한 작동들이 일함으로써 성장하는 세상의 많은 생명들처럼, 이정연의 매 순간은 그렇게 작품 안에 녹아있다. 작품은 우리에게 말을 건다. 자신의 삶과 열정, 그리고 예술적 표현을 옷 입은 기도가, 사랑이, 생명과 에너지가 작품 앞에선 다른 이에게 전달되기를, 그래서 작을지라도 무언가 의미가 되기를 바라는 작가의 마음이 그대로 담겨있다.
숨겨진 것들을 벗겨내는 힘, 영원에 도달하려는 쉼 없는 기도와 자기 성찰, 그리고 보이지 않는 것들을 향한 구애, 생명에 대한 감사의 시가 바로 이정연의 작품이다. 오늘도 쉬지 않고 그곳을 향해 욕망을 절제하고, 집중력을 발휘하는 작가의 고독한 싸움을 통해 작품 안에 그녀의 사랑과 깊은 통찰이 쏟아져 나온다.
#Japanese
作家イ・ジョンヨン‥比喩と洞察力で創り出したエネルギーの変調
◇材料の拡大
洋家イ·ジョンヨンの作品の大きな特徴は材料の構成にある。彼女は大枠にしっかり張った麻布キャンバスに絵を描く。漆の木の皮を剥がして採取した樹液をキャンバス画に下塗りをする。漆の樹液をキャンバス画に塗り重ねると、ほのかに染み出る赤黒いツヤは麻布と一体になってナチュラルに発色する。漆塗りの技法は元々家具や器、木の彫刻などに使われてきた。その採取した漆の樹液と篩(ふるい)にかけた細かい黄土にもち米の粉を混ぜてブラシを使わず、手で塗ってからその上に多彩な色を施す。そして黒くて濃い色を出す木炭粉を取り入れたり、鍾乳石の粉や骨粉、火山灰、貝の粉を使って白色または灰色を、鉄や銅粉を使って赤色を出したりもする。キャンバス画に漆塗りの粉をかけたり、金や卵の殻、アワビの貝の真珠質の部分を貼ることもある。
彼女(Artist RHEE JEONG YOEN)が使うこれらの材料は一般的な美術の素材ではない。キャンバス画に漆を積極的に採用したのはイ・ジョンヨンさんに鋭い先見の明があったと言える。自然から採取した材料を積極的に取り入れる彼女は洗練されたトーンと時間の流れを物語ってくれる材料から韓国独特の味をキャッチし、インスピレーションを得たという。皮を剥がされた木の苦痛と長時間熱と空気にさらされて変身を遂げた木炭と火山灰などから、その与えられた生に耐えて生き抜いて行く私たちの生きる姿を坦間見ることができる。
非常にユニークなこれらの材料は主に大地の多様な地層からできたものであったり、土壌に根を張って長い間育まれてきたものが多い。大地に水、火、風、空気、時間が溶け込み合って生まれた生命からとった漆の木の樹液、木炭、貝の粉、鍾乳石の粉、火山灰、骨粉などを幾重にも画面に重ねることでまるで大地をそのまま移し置いたごとく、また強固な物質の堆積と時間の蓄積をそのまま画面に移し置いたようにみえる。土壌を耕し、良いものを与えて肥沃な土壌にするように彼女は麻布キャンバスの上に水をまき、肥料を与える。そしてその肥沃な画面は命を授かり、生き生きとしたイメージを物語るようになる。
△生命の成長
命を授かり、この世に生まれてくる全ての生命体への愛情を表現し、物質間の有機的な関係にフォーカスをあてる視点で見ると、彼女の作品は新しい環境アートとも言えるだろう。それは自然の生態を理解し、大自然の中で生を受ける事物の存在と変化を積極的に取り入れるのをみると分かる。また、人工的な材料と方法を採用しないのも特徴と言える。画面は自然の縮小版になり、命を授かった有機体へと変わる。つまり、彼女は画面に自分の分身ともいえる生命体を作り出すのである。
その最も代表的なものと言えるのが「竹」である。竹は自分を空にする、控え目に振る舞う人の姿を連想させる。中身が空洞であるため中の温度が高く、音の伝達性にも優れ、真っ直ぐに伸びることができる。地中に長時間耐えた竹こそ、地上に出ると伸びる速度も違ってくる。中が空洞だからこそ、人の声に耳を傾け、コミュニケーション上手で、気配りのようなマナーと良くなる。節を少しずつ変えながら描く彼女の画面の中の竹はそのような世の中の理をあらわしている。その他に円形、三角形、四角形などの図形とキリスト教の代表的なアイコンといえる魚と十字架も用いられるが、これらはすべて特別な物語が潜んでいる。
すべての具体的な対象は再現の側面により、比喩かつ含みを持たす形になっている。象徴を重ね着した要らは観客各々に合わせて読めるテキストを用意している。作品を構成する材料と技法において実験的かつ挑戦的な彼女はすべてのモチーフに意味を持たせることで、見えない力と影響をとらえようと努めた。隠されていたり、ひっそり作動するそれらは作家特有の柔軟で大胆な筆のタッチで描かれている。
◇絵画の形式的系譜と特徴
洋家イ·ジョンヨンは大学で東洋画を専攻し、その後アメリカ留学、洋画と版画を学ぶ。初期の作品を見ると墨のボリューム感と濃淡が自在で、力強い筆のタッチも見える。また、余白さえもそのようなエネルギーを内包しているくらい、重みのある強さが感じられる。その後、洋画の媒体を取り入れた作品においては多様な線と色が画面を埋め尽くし、まるで視覚的要素がせめぎ合うように集約されている。
上記のような形式を超現実主義に分けることもできるが、それよりはアメリカの代表的なモダニズムの抽象表現主義により近いといえよう。超現実主義を連想させる非定型のイメージも見え、流動的な線の動きは多層的なメッセージを暗示するように見えるが、抽象表現主義のアクションペインティング(Action Painting)のように、大きな画面に見える大胆な筆のタッチと活力にあふれ、全体を埋め尽くす構成と強烈なカラーは律動的なエネルギーを感じさせる。ニューヨークでの留学時代、油絵の技法をはじめ、リトグラフ、モノプリント、アクリル画などへと、媒体を拡大し、墨、壮紙、麻袋、韓紙など様々な材料の混合で西洋と東洋の表現の共存を目指した。彼女の作品の形式において様々な媒体はもちろん、それを上回る多様な実験性を看過してはならない。
△柔軟な実験性とその成果物
彼女は東洋の伝統的な筆法を上手に駆使する。書体的な筆のタッチ、曲線をはらんだ直線のような包括的かつ多層的な線の饗宴はもちろん、濃淡の自在な変調にも優れている。このような才能が画面に花咲いたのは留学時代の作品であった。
アメリカから帰ってきた彼女は90年代半ば以降、<希望(hope)>、<出会い>など連作を主題にし、作品の内容に少しずつ変化を見せ始める。形式は抽象であるが、せめぎ合うようなイメージが少なくなり、シンプルに定着していくことが分かる。大地の色が画面に下塗られるが、線は大胆かつ流動的に、色と形態は多少可変・混合的でありながら曖昧な形を見せるようになる。その後、<リ・ジェネシス(Re-genesis)>の連作で余分の線と色は最小限に抑えられ、主題を目指す集中力が目立つようになった。
2000年頃、彼女は新しく興味深い素材に挑む。それはアワビの貝の真珠質の部分であった。丸い円形の貝殻と平らな板状の貝殻を用いていた彼女はその素材が画面にも新しい活気を与えてくれると信じていたのである。貝殻の明るいマルチトーンの色彩と硬い質感は大地のような画面に命を与え、それを視覚化した。荒い筆のタッチと触覚的な質感、整った形態と非定型の線、東洋と西洋の媒体と技法を横断するような彼女の混合構成は境界の意味を無効にしてしまう。
水墨が持つ強い力、書道における一筆揮之の伝統、水墨画の濃淡の差、欧米の抽象画の純粋性を基にする彼女の作品は表現的でありながらも統制され、シンプルでありながらも強烈である。
洋家イ·ジョンヨン(Artist RHEE JEONG YOEN)の作品は強力なエネルギーを持つ筆のタッチから始まる。そのエネルギーは空間を支配し、線と色に命を与えるが、衝突し合ったり、矛盾をもはらんでいた。しかし、多様な媒体と技法を培った時間があっただけに、彼女の視線と力量は作品を徐々に無秩序から秩序へ、混合から統合へ、衝突から調和へと変えていく。境界を横断する作品の中で私たちはその変化の旅程を見つけ出すことができる。
トランスフォーム(trans-form)、トランスコンテンツ(trans-contents)、トランスディメンション(trans-dimension)、トランスクォーリティ(trans-quality)。これがまさに彼女の作品の系譜といえよう。混在していた内容と要素が少しずつ整頓され、自分の居場所に落ち着かせることで画面はより凝縮され、明瞭になり、彼女の経験の世界を統合して行く。
◇人生の旅と主題意識
作家イ・ジョンヨンは作品を通じて観客に旅を提案する。観客に見える側の向うにあるものを作家と共有できるように導く。彼女は誠実で情熱的な教授でもある。長い間大学では主に素描(drawing)を教えてきた。素描は見えるものを正確に捉えるのを目的とするが、同時にそれをどのように再構成してみせるかを訓練する。彼女は学生自らの目で形態をとらえ、色を認知し、それを再現する技術を身につけるよう励まし、その術の習得を助ける。彼女はそのような授業を通して対象と主体間の関係にフォーカスを当てる。しかし、最も重要なのは感覚の主体としての認識に対する理解であるといえよう。
△精神性と宗教性
洋家イ·ジョンヨンの作品は作家の人生と緊密につながっている。宗教的な実践は彼女の人生の中心にある。人生の重みを軽く感じる人はいないだろう。彼女はスムーズではない人生の旅で一つの目指すところ、つまりキリスト教における唯一神に対する控え目で一途に重ねてきた時間を表現する。こみ上げる熱い呼吸は一線の筆のタッチになり、信仰で固く築かれたお祈りは木枠にしっかり張られた麻布キャンバスに変わる。そこに点々と施された貝殻は彼女の微笑みと周りへの感謝の意を物語っている。人生に対する彼女の姿勢はお祈りのように信心深いものであるが、温かく周りを包み込む懐の奥深さも見せている。自分の生き方に忠実で、素晴らしい筆力と汗を流して創り上げた画面は若干荒く、時にはその素材によって装飾的に見えることもあるが、彼女の過去と現在をあるがままに描いているため、未来に送る手紙といえよう。
正確に毎瞬間現れたり、感じることはできないが、無数のものの働きで成長する世の中の多くの生命体のごとく、彼女の人生の毎瞬間は作品の中に溶け込まれている。また、彼女の作品は観客に語りかける。人生と情熱、そして芸術的な表現を着飾ったお祈りと愛と生命とエネルギーが観客に伝わることを願いつつ、それがちっぽけなものであっても誰かには何らかの意味を持たせることを希う作家の心が盛り込まれている。
隠されたものの正体を暴く力、永遠へのたゆまぬお祈りと省察、そして見えないものへの求愛、生命への感謝の誌、それがまさに作家イ・ジョンヨンの作品といえよう。今日も休まず、永遠を求め、欲望をコントロールし、集中量を発揮する彼女の孤独な戦いの成果物の作品からは彼女の愛と深い洞察力を見ることができる。
△シン・フィヨン/美術史家、誠信女子大学 西洋画科
◇洋家 イ·ジョンヨン
ソウル大學校 美術大 卒業(專攻:東洋畵). ソウル大學校 大學院 修了. プラット·インスティテュ一ト大學院 卒業(專攻:西洋畵·版畵). コロンビア·師範大學 博士課程 修了(專攻:美術敎育). △個展回數38回=Steinberg Museum of Art at Hillwood(NewYork, U.S.A.),Palazzo Tagliaferro Museum(Andora, Italy),上野の森美術館(Ueno Royal Museum, Tokyo,Japan) ect. △現 在=SADI(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基礎學科 正敎授. 米國 Kips Gallery 專屬作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