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2014]Rhee Jeong-Yeon①-1‥Alteration of Energy Formed through Metaphor and Insight-Extension of Materials
화가 이정연‥은유와 통찰로 빚어낸 에너지의 변조-재료의 확대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artist Rhee Jeong-Yeon is the composition of materials. The artist paints by covering hemp cloth that has been tightly pulled on canvas. Bark of poison ivy stripped off and extracted sap is collected to use them as the undercoating material of canvas. The dark red energy that oozes out subtilely when applied to cloth is displayed in harmony as if being one with hemp cloth even from the start. Lacquer varnishing technique was initially used for furniture or vessel and wood piece.
이정연 작가의 회화의 가장 큰 특징은 재료의 구성에 있다. 작가는 삼베를 팽팽하게 잡아당겨 화판위에 입히고 그림을 그린다. 옻나무 껍질을 벗기고 추출한 수액을 모아 화면의 밑칠 재료로 삼는다. 천에 바를 때마다 은은하게 배어나는 검붉은 기운은 삼베와 처음부터 하나인 것 처럼 어우러져 발색한다. 옻칠 기법은 원래 가구나 그릇, 나무 조각에 사용되었다.
Glutinous rice flower is mixed with fine red clay sifted out with filter and collected sap to apply it for background with hands instead of brush, on which various colors are placed. Dark color charcoal powder is applied, and white or gray color is expressed using stalactite or bone waste, volcanic ash and clam powder while steel or copper powder is used to express red color. Lacquer varnish powder is sprinkled on canvas, or gold, egg shell or nacre collected from abalone is applied.
채취된 옻과 채로 걸러낸 고운 황토에 찹쌀가루를 섞어서 붓 대신 손으로 바탕을 칠하고, 그 위에 다양한 색들을 올린다. 검고 진한 색을 내는 숯가루를 더하기도 하고, 종유석가루나 뼛가루, 화산재와 조개가루를 이용해서 흰색이나 회색을, 철이나 구리가루 등으로 붉을 색을 내기도 한다. 화면에 옻칠가루를 뿌리거나, 금이나 계란껍데기, 전복에서 채취한 자개(自槪)를 붙이기도 한다.
[▲ 신창세기(Re-Genesis)] All these materials that she use were not common materials in art. Actively embracing sap on canvas background is Rhee Jeong-Yeon’s advanced choice. The artist that uses materials collected from nature stated that she was inspired by the deep Korean sentiment displayed by materials with years of experience and refined tone. The pain of tree stripped off of its bark and charcoal and volcanic ashes transformed in heat and air for a long time are similar to the appearance of us that live our lives through endurance.
화가 이정연(李貞演, RHEE JEONG YOEN)이 사용하는 이 모든 재료들은 미술의 보편적 소재가 아니었다. 옻을 화면 바탕에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은 이정연의 앞선 선택이었다. 자연에서 채집한 원료들을 사용하는 작가는 정제된 톤과 시간의 연륜이 묻어나는 재료가 주는 깊은 한국적인 느낌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했다. 껍질을 벗겨낸 나무의 고통과 오랜 시간 열과 공기에서 변환된 숯, 화산재 등은 모두 삶을 견디고 살아내는 우리의 모습과 닮았다.
These very unique materials are materials that have been created on various layers of earth or that have grown for a long time with their roots in soil. Applying in layers on canvas bone wastes, volcanic ash, stalactite, clam powder, charcoal, sap of lacquer tree extracted from lives that have been created and formed on earth with the mix of water, fire, wind, air and time appears as having shifted sedimentation of solid matter and accumulation of time them on earth as if having shifted the earth.
매우 독특한 이런 재료들은 주로 대지의 여러 층위에서 생산된 것이거나 토양에 뿌리를 두고 오랜 시간 성장한 것들이다. 대지에 물, 불, 바람, 공기와 시간이 녹아들어가면서 생성되고 만들어진 생명으로부터 추출한 옻나무의 진액, 숯, 조개가루, 종유석가루, 화산재, 뼛가루 등을 겹겹이 화면 위에 설치함은 마치 대지를 옮겨놓은 듯, 견고한 물질의 퇴적과 시간의 축적을 화면에 옮긴 것처럼 보인다.
As if cultivating soil and enriching them into good substances, the artist waters on top of hemp cloth and pours fertilizer. On top of such soil, shapes grow as if lives and stacked neatly.
토양을 가꾸고 좋은 물질로 비옥하게 하듯, 작가는 삼베위에 물을 주고 거름을 붓는다. 그런 토지위에서 생명처럼 형상들이 자라고 차곡히 쌓여간다.
△글=진휘연/미술사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 이론 (Jin Hwi-Yeon/ Art historia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chool of Visual Art, Art-theory)
## 이코노믹 리뷰 / Life&People / 문화 / 권동철 (미술 컬럼니스트) / 04.20.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