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2016년]Rhee Jeong-yoen④‥Who have gone deeply within their psyche on some level and have managed to come out all the better
[▲ 신창세기(Re-Genesis)] △Robert C. Morgan(Art Historian and artist)
Her renderings of bamboo suggest a tubular funnel, indigenous to many forests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Bamboo is strong, protective, and resistant to natural and man-made calamities. It i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habitats in the isolated mountain wilderness and in the making of flutes (daegeum) or various components used in percussive instruments. Bamboo has ritual significance, and as food, is nourishing and substantial.
이정연 작가의 대나무를 변주한 표현은 한반도에 퍼져있는 원시적인 숲과 좁고 긴 대롱을 떠올리게 한다. 대나무는 자연과 인재에 강인하고, 저항적이며, 또 보호해주는 성질을 지닌다. 전통적으로 대나무는 외딴 산골짜기에서 주거가옥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으며, 플루트 같은 고유의 목관악기-대금-와 전통적인 타악기의 주재료였다. 대나무는 제의적인 의미거나 식량으로서, 역사적으로도 아주 풍부하고 상당한 가치를 지는 하나의 상징이다.
In addition, one finds circular, target forms, possibly coming from Buddhism in the eleventh and twelve centuries during the peak of the Goreyo Dynasty. There are bone-like forms, often used in the carving of utensils, going back as early as Neolithic period or the Three Dynasties. Bag-like skins either hang or are suspended in some paintings, along with drum-like containers. There are relics, phallus and vulva shapes of one kind or another – all suggesting fertility and a closeness to nature.
덧붙이자면, 혹자는 작품에서 나타나는 원형의 형태들을 고려시대에 정점에 달했던 11~12 세기 불교에서 도래한 것으로도 해석한다. 작품에 나오는 각종 기물에 새겨진 뼈 같은 형상들은 신석기시대・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도상이다. 화면에는 원통형의 대나무와 보자기 같은 나팔형 껍질이 걸려 있거나 늘어뜨려져 있으며, 동시적으로 각각 남근상 phallus, 음문상 vulva, 성물 relics의 형태를 띠며 자연의 근사 closeness, 풍요를 암시한다.
Rhee’s Korean lacquer paintings reiterate the presence of the ellipse, the coil or the ring, as a kind of bonding symbol identifying a spiritual presence within the community. There are objects suggesting the house of a shamanist healer who became the spiritual guardian, the guide, and protectorate of those suffering from illnesses, hardships, and privations in their daily existence. One might also read these forms as having a Christian influence, coming into Korean during the mid-to-late Chosun Dynasty.
화가 이정연의 한국적 칠화는 타원형, 휘감긴 고리 또는 반지 형태와 같이 공동체에 내재된 정신성을 확인케 하는 결합된 상징의 일환을 반복한다. 일상적 현존에 놓인 궁핍이나 고난, 질병으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는 자들을 보호하고, 이끌어주는 정신적 지주로서의 영성적 치유자 shamanist healer의 집을 암시하는 듯한 오브제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조선 후기에 유입된 한국의 초기 기독교 신앙에서 파생된 것이며 거기에서부터 작품에 드러난 형태를 파악할 수도 있겠다.
A paradoxical comment I have made upon occasion to artists who seek some form of identity or relief from their uncertainties is the following: Those who attain a universal understanding through their art are generally those who have gone deeply within their psyche on some level and have managed to come out all the better. I suppose part of this comes by way of the Irish poet Yeats, but it would seem to connect with the powerful, mysterious and tangible lacquer paintings of RHEE JEONG YOEN as well.
나는 때때로 자신의 불확실성에서 비롯하여 어떤 정체성이나 위안의 형태를 작업을 통해 도출해내려고 하는 작가들에 대한 역설적인 감상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러나 이 작가들이야말로 작가 스스로 정신적인 깊은 경지에 도달해 있고, 이를 작품 속에 승화시켜 표현해내기 때문이다. 마치 아일랜드 시인 예이츠 William Butler Yeats가 정신적 영감으로 시적 심상을 끌어올리듯, 이정연의 인상적이고 신비로운, 분명하게 감지되는 옻칠 회화 역시 상응한다.
◆Robert C. Morgan
Art Historian and artist Robert C. Morgan has been a major independent force in international criticism for over thirty-five years. In addition to the publication of several books, including The End of the Art World (1998), and literally hundreds of essays (in twenty languages), he has curated over eighty exhibitions. He is Professor Emeritus in Art History from the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ince 2011, a member of the European Academic of Sciences and Arts in Salzburg. In recent years, much of his work as an essayist has been focused on the work of Korean and Chinese artists. His book ‘Reflections on the Condition of Recent Chinese Art’ was published in Chinese translation in 2013 with Hebei Educational Publishers in Beijing. In 2005, he was selected as a Fulbright Senior Scholar, lecturing at various universities in Gwangju and Seoul.
◇로버트 모건
로버트 모건 Robert C. Morgan, 1943-, 미국은 국제미술비평계에서 비평적 영향력을 가진 저명한 미술사학자이자 작가다. 35년 넘게 수많은 단행본을 출간하였고, 20 개국 언어로 번역된 평론 에세이를 수백 편 발표한 비평가이며, 80 개가 넘는 전시를 기획하였다. 대표 저서로 The End of the Art World (1998)가 있으며, 2013 년 중국에서 Re f lections on the Condition of recent Chinese Art 를 북경에 있는 Hebei Educational Publishers 에서 중국어로 번역 출간하였다. 2005 년 풀브라이트 선임 학자 Fulbright Senior Scholar 로서 광주와 서울 소재 대학에서 강의했고, 2011 년 잘츠부르크의 the European Academic of Sciences and Arts 회원이 되었다. 현재 뉴욕 로체스터 공과대학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미술사 교수 Professor Emeritus로 재직 중이며, 최근 한국과 중국 작가들의 작품에 관한 에세이 집필에 집중하고 있다.
[▲ 화가 이정연(RHEE JEONG YOEN). 현재, 사디(SADI, 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 정교로 재직 중이다.] ## 이코노믹 리뷰 / Life&People / 문화 / 권동철 (미술 컬럼니스트) / 06.09.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