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2000년〕화가 이정연②‥일체화 과정을 통한 생명의 근원
Artist RHEE JEONG YOEN‥무의식의 지층에 녹아든 삶의 편린들
[▲ Re-Genesis, 73×91㎝ Korea Lacquer Painting with Nature Materials on Hemp Cloth, 2000] 이러한 애매한, 그 의미가 고정되지 않은, 비결정의 형상들이 그의 그림으로 하여금 생명에 대한 강한 환기력을 갖게 한다. 아직 어떤 이름을 가져 본적이 없는 설익은 의미와 그 의미가 자기를 키워내는 현재진행형의 과정이야말로 모든 생명 있는 유기체의 고유한 성질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기체적인 성질이 작가 이정연의 화면을 지배하고 있다. 유기체적인 성질은 이렇듯이 결정화 이전의 생성 중에 있는 비결정의 형상 이외에 주로 선묘로 쓰여진 검정과 암갈색, 기타 형상과 바탕을 이루는 황토색과 황갈색의 범위로 한정된 색조와도 무관하지 않다.
The vagueness, unidentified meaning and non-crystalline are the very elements which strongly evokes the strength of the life. The incomplete title of being with immature meaning and the progressive process of the meaning which nurtures the artist herself would be considered as the specific quality of the organic objects. The organic quality has become a dominant force of paintings of artist Rhee Jeong Yoen. As mentioned already, the organic quality, besides the non-crystalline imagery before becoming a perfect crystal, would be closely related to black and dark brown being painted along the delineation and the tints in the limited range with ocher and yellow brown colors which consists other imageries and the ground.
[▲ 61×44㎝] 이러한 한정된 색조가 한 눈에도 흙, 땅, 대지를 상기 시킨다. 황갈색의 색조나 비결정의 형상들이 마치 자기 내부로부터 잠재된 생명체를 키워내는 땅의 속성을 닮아 있다. 이로써 그의 회화는 생명체를 키워내는 대지의 생명력에 맞추어져 있다. 그에게서 화면은 생명의 씨앗을 내재한 대지인 것이며, 무의식의 지층에 녹아든 삶의 편린들을 잉태한 자궁인 것이며 이러한 대지와 자궁의 생명력이 회화의 프로세스와 일체를 이룬 회화의 장인 것이다.
Such limited tints as this case would give us an associated image of soil, ground and earth at a glance. The yellow brown tints and non-crystalline imageries are seemed as though an attribution of the earth growing the latent organic objets in the inner world. Thus, her paintings have been focused on the strength of life of the earth which grow the organic object. To herself, the surface of her pictures are an earth with latent seed of life being nurtured by the earth, a womb being conceived the portions of life coined in the layer of unconsciousness and is the chapter of painting which unified the strength of womb of the earth and process of her artwork into oneness.
실제로 이정연 작가는 이러한 대지의 생명력을 실현할 요량으로 흙, 목탄, 심지어 골분(骨粉) 등의 천연 소재를 사용하는가 하면, 화면으로서 삼베를, 안료로서 옻칠 등의 자연소재를 도입하기도 한다. 흙이나 목탄 등의 소재는 특히 마티엘이나 질박한 표면 효과를 가능하게 하며, 삼베나 옻칠의 소재는 전통적인 미적 감수성을 반영하고 있다.
Actually, in order to realize her intention to represent the strength of life of the earth, a the artist has attempted in a various ways, such as by application of erial including soil, charcoal, even bone powder, ect. And also adopted hemp cloth for canvas and lacquer paint for pigment, which are all together natural materials. The materials such as soil and charcoal, etc. would especially bring into effect of matiere and an abundant pictorial surface effect, while hemp cloth and lacquer paint, which are Korean’s traditional, would reflect the aesthetic sensitivity of the artist in someway.
[▲ 60.5×72.5㎝] 특히 삼베는 작가에게 있어서 단순히 회화를 위한 지지대 이상이다. 삼베의 갈색은 그대로 대지의 속성과 닮아 있으며 이러한 사정은 안료로 사용된 옻칠 역시 마찬가지다. 결국 작가는 삼베를 단순한 화면이 아닌, 어떤 질료적인 성질을 갖는 오브제로 이해한 셈이다. 따라서 작가에게 있어서 회화의 최초 조건으로서의 분리된 화면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삼베와 옻칠, 목탄과 흙의 질료적인 소재가 중첩돼 만들어 낸 독특한 회화적 오브제가 있을 뿐이다. 굳이 오브제라고 일컫는 것은 이러한 소재들이 분리되거나 구분되지 않은 총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Particularly, the hemp cloth is meant to the artist more than a mere support. The brown color of hemp cloth is wholly similar look of the earth, and the same is applicable to lacquer paining. Consequently, the artist have understood of the hemp cloth an object with a certain material quality rather than a simple pictorial surface material. Therefore, to the artist, no surface of picture separated as a primary condition of a painting would be existed. Instead, there is only a pictorial object in particular being created by the superimposition of the qualitative materials such as hemp cloth and lacquer paint, and charcoal and earth. The reason I have called these materials compositely as object is that these materials are totally int Aegrated, inseparable and are not classifiable.
[▲ 45.5×53㎝] 그 오브제는 현저하게 땅의 속성을 닮아 있다. 비정형의 형상으로 대변되는 유기체적인 생명과 그 생명을 키워내는 땅의 속성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의 작업은 생명이 근원에 맞추어져 있다. 단순히 외적 재현을 통하기보다는 땅의 성질에 작가의 체질을 일치시키는 일체화의 과정을 통해서 이러한 생명의 근원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체질과의 일체화의 과정은 의식보다는 무의식의 성질에, 논리적이기보다는 감각적인 성질에 가깝다. 작가도 미처 의식하지 못한 사이에 존재의 일부가 된 어떤 정서적인 것에 가깝다.
The object is apparently similar to the attribution of the earth. The life of organic object, which is otherwise treated as an irregularly shaped imagery, and the objet is directing itself toward the attribution of the earth which nurtures the life. In this connection, her artwork is focused on the source of life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oneness by making agreement with her own physical constitution and the quality of the earth. The process of becoming oneness with her physical constitution is largely attributable to an unconscious is largely attributable to an unconscious state of being, much more closer to a certain quality of sensiblility rather than a logical source. It is closer to a certain sentiment which was formed as part of the existence while the artist could not recognize it.
△글=고충환 미술평론가/Koh Choong Hwan(Art Critic)
## 이코노믹 리뷰 / Life&People / 문화 / 권동철 (미술 컬럼니스트) / 03.15.2017 ##